누구든 피조물들이 아름다움을 보고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장님과 다름없고, 누구든 그렇게 큰 외침에도 깨어나지 못하면 귀머거리와 같습니다. 누구든 주님의 이러한 결과물을 찬미하지 않는 사람은 벙어리와 다른없고, 누구든 이렇게 뚜렷한 증거로도 제일 원리를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바보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눈을 뜨고 귀를 기울이며, 입술을 벌리고, 마음을 열어 모든 피조물에게서 여러분의 주님을 보고, 듣고 찬미하고, 섬기고 사랑하고 공경하며 영광을 드려 땅 전체가 그대에게 대항하여 일어나지 않게 하십시오.
- 보나벤투라
[마태복음서 7:14-15, 18-20]
“생명으로 이끄는 문은 너무나도 좁고, 그 길이 비좁아서, 그것을 찾는 사람이 적다.” “거짓 예언자들을 살펴라. 그들은 양의 탈을 쓰고 너희에게 오지만, 속은 굶주린 이리들이다. 좋은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을 수 없고, 나쁜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없다. 좋은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는, 찍어서 불 속에 던진다. 그러므로 너희는 그 열매를 보고 그 사람들을 알아야 한다.””
[시편 103:1-5, 9-12]
“내 영혼아, 주님을 찬송하여라. 마음을 다하여 그 거룩하신 이름을 찬송하여라. 내 영혼아, 주님을 찬송하여라. 주님이 베푸신 모든 은혜를 잊지 말아라. 주님은 너의 모든 죄를 용서해 주시는 분, 모든 병을 고쳐 주시는 분, 생명을 파멸에서 속량해 주시는 분, 사랑과 자비로 단장하여 주시는 분, 평생을 좋은 것으로 흡족히 채워 주시는 분, 네 젊음을 독수리처럼 늘 새롭게 해 주시는 분이시다. 두고두고 꾸짖지 않으시며, 노를 끝없이 품지 않으신다. 우리 죄를, 지은 그대로 갚지 않으시고 우리 잘못을, 저지른 그대로 갚지 않으신다. 하늘이 땅에서 높음같이, 주님을 두려워하는 사람에게는, 그 사랑도 크시다. 동이 서에서부터 먼 것처럼, 우리의 반역을 우리에게서 멀리 치우시며,”
[누가복음서 15:1-3, 11-32]
“세리들과 죄인들이 모두 예수의 말씀을 들으려고 그에게 가까이 몰려들었다.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들은 투덜거리며 말하였다. “이 사람이 죄인들을 맞아들이고, 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구나.” 그래서 예수께서는 그들에게 이 비유를 말씀하셨다.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에게 아들이 둘 있는데 작은 아들이 아버지에게 말하기를 ‘아버지, 재산 가운데서 내게 돌아올 몫을 내게 주십시오’ 하였다. 그래서 아버지는 살림을 두 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며칠 뒤에 작은 아들은 제 것을 다 챙겨서 먼 지방으로 가서, 거기서 방탕하게 살면서, 그 재산을 낭비하였다. 그가 모든 것을 탕진했을 때에, 그 지방에 크게 흉년이 들어서, 그는 아주 궁핍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그 지방의 주민 가운데 한 사람을 찾아가서, 몸을 의탁하였다. 그 사람은 그를 들로 보내서 돼지를 치게 하였다. 그는 돼지가 먹는 쥐엄 열매라도 좀 먹고 배를 채우고 싶은 심정이었으나, 그에게 먹을 것을 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제서야 그는 제정신이 들어서, 이렇게 말하였다. ‘내 아버지의 그 많은 품꾼들에게는 먹을 것이 남아도는데, 나는 여기서 굶어 죽는구나. 내가 일어나 아버지에게 돌아가서, 이렇게 말씀드려야 하겠다.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 앞에 죄를 지었습니다. 나는 더 이상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으니, 나를 품꾼의 하나로 삼아 주십시오.’ 그는 일어나서, 아버지에게로 갔다. 그가 아직도 먼 거리에 있는데, 그의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서, 달려가 그의 목을 껴안고, 입을 맞추었다. 아들이 아버지에게 말하였다.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 앞에 죄를 지었습니다. 이제부터 나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종들에게 말하였다. ‘어서, 가장 좋은 옷을 꺼내서, 그에게 입히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겨라.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내다가 잡아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나의 이 아들은 죽었다가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되찾았다.’ 그래서 그들은 잔치를 벌였다. 그런데 큰 아들이 밭에 있다가 돌아오는데, 집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에, 음악 소리와 춤추면서 노는 소리를 듣고, 종 하나를 불러서, 무슨 일인지를 물어 보았다. 종이 그에게 말하였다. ‘아우님이 집에 돌아왔습니다. 건강한 몸으로 돌아온 것을 반겨서, 주인 어른께서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큰 아들은 화가 나서, 집으로 들어가려고 하지 않았다. 아버지가 나와서 그를 달랬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에게 대답하였다. ‘나는 이렇게 여러 해를 두고 아버지를 섬기고 있고, 아버지의 명령을 한 번도 어긴 일이 없는데, 나에게는 친구들과 함께 즐기라고, 염소 새끼 한 마리도 주신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창녀들과 어울려서 아버지의 재산을 다 삼켜 버린 이 아들이 오니까, 그를 위해서는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아버지가 그에게 말하였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으니 내가 가진 모든 것은 다 네 것이다. 그런데 너의 이 아우는 죽었다가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되찾았으니, 즐기며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묵상과 기도 : 우리는 탕자의 형처럼 그의 동생이 돌아온 것을 아버지의 마음으로 기뻐하지 못합니다. 형은 다행히 그런 솔직한 마음을 아버지에게 털어놓습니다. 아버지는 형이 매일 누리고 있기 때문에 잊고 지내는 사실을 상기시켜줍니다. (하늘) 아버지와 함께 있다면, 모든 것이 자신의 것임을 알려줍니다. 우리도 매일 그런 주님의 은혜를, 우리에게 베풀어주신 용서를, 우리를 지켜주시는 보호하심을, 우리를 자녀삼아주시는 사랑을 감사와 기쁨으로 찬양드리고 있는지 아니면 하나님의 것이 우리의 것임을 깨닫지 못하고 남의 것만 탐하며 살아가고 있진 않은지 돌아봅니다. 주님, 우리가 당신의 아름다움을 보고, 그 크고 깊음을 깨달아 찬미하게 하소서. 나의 구멍이 아니라, 나의 다른 모든 부분을 채워주시는 당신을 보게하소서. 즐거이 당신만을 찬양하게 하소서.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8일(20220322) (0) | 2022.03.22 |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7일(20220321) (0) | 2022.03.21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5일(20220318) (0) | 2022.03.18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4일(20220317) (0) | 2022.03.17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3일(20220316)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