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형제자매에게 죄를 짓지 않았는지, 세상 사람들처럼 누군가를 미워하고 멸시하고 모독하진 않았는지, 그래서 형제자매에게 살인을 저지르지 않았는지 살펴보십시오. 오늘날 예수를 따르는 공동체는 주님 앞에 나아가는 그 순간 다른 이들의 기도를 방해하지는 않았는지, 세상에서 수치를 당하고 권리를 빼앗긴 이들에게 생명을 보존하고 지탱하고 보호하기를 원하는 예수 사랑의 징표를 보여주었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가장 완전한 예배와 가장 경건한 기도와 가장 용감한 신앙고백도 도움이 되기는 커녕 오히려 역겨울 따름입니다.
- 디트리히 본회퍼
[창세기 37:3-4, 12-13, 18-28]
“이스라엘은 늘그막에 요셉을 얻었으므로, 다른 아들들보다 요셉을 더 사랑하여서, 그에게 화려한 옷을 지어서 입혔다. 형들은 아버지가 그를 자기들보다 더 사랑하는 것을 보고서 요셉을 미워하며, 그에게 말 한 마디도 다정스럽게 하는 법이 없었다. 그의 형들은 아버지의 양 떼를 치려고, 세겜 근처로 갔다. 이스라엘이 요셉에게 말하였다. “네가 알고 있듯이, 너의 형들이 세겜 근처에서 양을 치지 않느냐? 내가 너를 너의 형들에게 좀 보내야겠다.” 요셉이 대답하였다. “다녀오겠습니다.” 그런데 그의 형들은 멀리서 그를 알아보고서, 그를 죽여 버리려고, 그가 그들에게 가까이 오기 전에 음모를 꾸몄다. 그들은 서로 마주 보면서 말하였다. “야, 저기 꿈꾸는 녀석이 온다. 자, 저 녀석을 죽여서, 아무 구덩이에나 던져 넣고, 사나운 들짐승이 잡아먹었다고 하자. 그리고 그 녀석의 꿈이 어떻게 되나 보자.” 르우벤이 이 말을 듣고서, 그들의 손에서 요셉을 건져 내려고, 그들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목숨만은 해치지 말자. 피는 흘리지 말자. 여기 들판에 있는 구덩이에 그 아이를 던져 넣기만 하고,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는 말자.” 르우벤은 요셉을 그들에게서 건져 내서 아버지에게 되돌려 보낼 생각으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요셉이 형들에게로 오자, 그들은 그의 옷 곧 그가 입은 화려한 옷을 벗기고, 그를 들어서 구덩이에 던졌다. 그 구덩이는 비어 있고, 그 안에는 물이 없었다. 그들이 앉아서 밥을 먹고 있는데, 고개를 들고 보니, 마침 이스마엘 상인 한 떼가 길르앗으로부터 오는 것이 눈에 띄었다. 낙타에다 향품과 유향과 몰약을 싣고, 이집트로 내려가는 길이었다. 유다가 형제들에게 말하였다. “우리가 동생을 죽이고 그 아이의 피를 덮는다고 해서, 우리가 얻는 것이 무엇이냐? 자, 우리는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는 말고, 차라리 그 아이를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팔아 넘기자. 아무래도 그 아이는 우리의 형제요, 우리의 피붙이이다.” 형제들은 유다의 말을 따르기로 하였다. 그래서 미디안 상인들이 지나갈 때에, 형제들이 요셉을 구덩이에서 꺼내어,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은 스무 냥에 팔았다. 그들은 그를 이집트로 데리고 갔다.”
[시편 105:16-22]
“그 뒤에 주님께서 그 땅에 기근을 불러들이시고, 온갖 먹거리를 끊어 버리셨다. 그런데 주님은 그들보다 앞서 한 사람을 보내셨으니, 그는 종으로 팔린 요셉이다. 사람들은 그 발에 차꼬를 채우고, 그 목에는 쇠칼을 씌웠다. 마침내 그의 예언은 이루어졌다. 주님의 말씀은 그의 진실을 증명해 주었다. 왕은 사람을 보내어 그를 석방하였다. 뭇 백성의 통치자가 그를 자유의 몸이 되게 하였고, 그를 세워서 나라의 살림을 보살피는 재상으로 삼아서, 자기의 모든 소유를 주관하게 하며, 그의 뜻대로 모든 신하를 다스리게 하며, 원로들에게 지혜를 가르치게 하였다.”
[마태복음서 21:33-43, 45-46]
““다른 비유를 하나 들어보아라. 어떤 집주인이 있었다. 그는 포도원을 일구고,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포도즙을 짜는 확을 파고, 망대를 세웠다. 그리고 그것을 농부들에게 세로 주고, 멀리 떠났다. 열매를 거두어들일 철이 가까이 왔을 때에, 그는 그 소출을 받으려고 자기 종들을 농부들에게 보냈다. 그런데, 농부들은 그 종들을 붙잡아서, 하나는 때리고, 하나는 죽이고, 또 하나는 돌로 쳤다. 주인은 다시 다른 종들을 처음보다 더 많이 보냈다. 그랬더니, 농부들은 그들에게도 똑같이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기 아들을 보내며 말하기를 ‘그들이 내 아들이야 존중하겠지’ 하였다. 그러나 농부들은 그 아들을 보고 그들끼리 말하였다. ‘이 사람은 상속자다. 그를 죽이고, 그의 유산을 우리가 차지하자.’ 그러면서 그들은 그를 잡아서, 포도원 밖으로 내쫓아 죽였다. 그러니 포도원 주인이 돌아올 때에, 그 농부들을 어떻게 하겠느냐?” 그들이 예수께 말하였다. “그 악한 자들을 가차없이 죽이고, 제 때에 소출을 바칠 다른 농부들에게 포도원을 맡길 것입니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성경에서 이런 말씀을 읽어 본 일이 없느냐? ‘집 짓는 사람이 버린 돌이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다. 이것은 주님께서 하신 일이요, 우리 눈에는 놀라운 일이다.’ 그러므로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하나님께서는 너희에게서 하나님의 나라를 빼앗아서, 그 나라의 열매를 맺는 민족에게 주실 것이다. 대제사장들과 바리새파 사람들은 예수의 비유를 듣고서, 자기들을 가리켜 하시는 말씀임을 알아채고, 그를 잡으려고 하였으나, 무리들이 무서워서 그렇게 하지 못하였다. 무리가 예수를 예언자로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묵상과 기도 : 요셉의 형제들처럼, 포도밭 농부들처럼 형제자매 그리고 우리의 이웃들을 미워하며 잘 안되기를 바라는 곱지 못한 마음과 그런 행동들이 예수님에게 행하는 것과 같음을 깨닫게 됩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고난을 묵상할 때, 우리가 잊고 지나치는 우리가 만들어낸 폭력을 바라보게 하소서. 크고 작은, 직간접적인, 그리고 부지간에 저지르는 우리의 악한 행동과 마음을 깨닫게 하시어 생명을 보존하고 보호하는 이들로 살아가게하소서.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7일(20220321) (0) | 2022.03.21 |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6일(20220319) (0) | 2022.03.20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4일(20220317) (0) | 2022.03.17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3일(20220316) (0) | 2022.03.16 |
[주여,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사순 제12일(20220315) (0) | 2022.03.15 |